Blog Content

  • 멀티 프로세스 그리고 멀티 쓰레딩

    Category IT 기술 개념 정리 on 2018. 8. 12. 23:22

    2000년대 초반까지 CPU의 성능 향상은 주로 clock speed의 개선을 통해 이루어 졌으나 이후 이러한 방식은 발열과 전력손실이라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속도 개선에 한계를 느낀 CPU 제조사들은 하나의 CPU에 2개 이상의 코어를 탑제하는 멀티 코어 기술로 전환 하였다. 이를 칩 레벨 멀티프로세서(CMP)라고도 한다. 유사한 멀티쓰레딩( = 하이퍼쓰레딩) 기술이 있다. 동시 멀티스레딩(Simultaneous multithreading, SMT하나의 CPU를 외부로부터 2개처럼 보이게 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코어는 싱글 코어라는 점에서 멀티 코어 기술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2개의 기술은 기존의 멀티 쓰레딩 기술에 부가적인 병렬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CPU 성능 향상에 큰..

    Read more
  • 컴퓨터 그리고 CPU 의 구분 RISC vs CISC

    Category IT 기술 개념 정리 on 2018. 8. 12. 16:11

    현대식 컴퓨터 모델을 제시한 분은 존 폰 노이만교수 (1903 ~ 1957 ) 이다 초기 컴퓨터인 "애니악" 은 컴퓨터에 다른 일을 시키려면 전기회로를 모두 바꿔줘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내장 방식 (Store programing Concept) 을 제안 하였다.'0. 메모리에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1. 그 중 실행할 명령어를 Control Unit으로 가져오고 2. Control Unit 은 명령어를 해석 (Decode) 해서 3. 해석된 명령어를 ALU 에 실행 시킨 이후 4. 결과 값을 다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 입니다. 이러한 구성은 향후 성능 개선을 위해 명령어 메모리 (Instruction memory) 와 데이터 메모리(Data me..

    Read more
  • svn 과 형상 관리

    Category IT 기술 개념 정리 on 2018. 8. 7. 23:02

    subversion 은 버젼 관리 시스템 중 하나로 기본적으로 버젼 관리 시스템이란 어떤 파일을 누가 언제 어떻게 변경 했는지에 대한 이력을 버젼으로 기록 하고 관리 하는 시스템이다. 여러명이 하나의 파일을 수정하다가 충돌이 나는것으로 conflict 또는 collision 이라고 하는데이를 방지 하기 위한 구조적 방식에 두가지가 있다. Lock 모델 누군가 편집하고 있는 파일을 잠가 둬서 다른 멤버가 일절 편집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과거 전통적인 버젼 관리 방식으로 같은 파일을 여럿이 함께 수정하지 못한다. 주요한 특성으로 항상 수정 전체 해당 파일을 체크아웃 해 줘야 하며 파일 단위로 이력을 관리 한다. Merge 모델 파일을 잠그지 않고 개발자가 복사본을 체크아웃 해서 편집 후 리포지토리에..

    Read more
  • HTTP 웹 서버

    Category IT 기술 개념 정리 on 2018. 6. 30. 20:59

    TCP/IP 기반의 Application Protocol 중 인터넷 서비스 프로토콜인 HTTP 는 현재까지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HTTP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요청은 하나의 개체, 사용자 에이전트 ( 대부분의 경우 브라우저지만, 무엇이든 될 수 있다) 에 의해 전송됩니다. 각각의 개별적인 요청들은 서버로 보내져 처리되어 response라고 불리는 객체를 서버로부터 돌려받습니다. HTTP 는 헤더정보를 통해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전달 합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 HTTP Request Header Line 1 : 요청 Method 로 HTTP 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방법을 정의 한다 특히 요청 Method는 Line 2: host는 요청을 한 서버의 호스트 이름 Li..

    Read more
  • IP Data 의 전달 구조

    Category IT 기술 개념 정리 on 2018. 6. 14. 00:09

    전송하고 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컴퓨터로 안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헤더정보를 필요로 한다. 헤더 정보는 계층 하위로 내려갈수록 추가되어 지며 상위로 올라올수록 제외되어 진다이러한 계층간의 정보 추가를 "캡술화" 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TCP/IP Protocol 의 계층구조는 아래와 같이 4단계 구성 모델을 사용한다 패킷이란 데이터 전달에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같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블록으로 정의 할수 있다. 데이터그램은 인터넷프로토콜 (IP)에서 정의된 패킷의 포멧이다. IP Header 와 TCP Header 로 구분해서 볼수 있는데 Header의 상세 정보는 아래와 같다. IP Header 중 주요 정보는 source Pv4 헤더는 통상적으로 20B(바이트)이구요. 여기..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