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개념

Blog Content

    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개념

    초기 컴퓨터 계산기능의 향상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후 이러한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기 시작되면서 더욱 혁신적인 기능을제공하게되었다


    초기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이 중 TCP/IP 프로토콜은 많은 장점을 통해 표준이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의 인터넷이 만들어 졌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 (Device)를 '노드(node)라고 부른다. 

    이러한 노드는 모두 주소 (Address)를 가지고 있고 이 주소를 통해서 각각의 노드를 찾아 갈수 있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를 할당 받아 이용하게 된다. 

    32

    (* 때로는 방문자가 아주 많은 경우 부하 분산을 위해 하나의 노드에 여러개의 주소가 할당되기도 한다 )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는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 Authority ) 를 통해 관리된다. 

    실질적으로 미국의 영향력이 엄청나다고 할수 있다. 


    history of internet 



    < IP 주소의 체계>


    IPv4의 주소 체계는 32바트 (4 바이트 ) 길이로 구성되어 있고  3자리 숫자의 4마디, 총 12개 숫자로 표기된다. 

    각 마디의 숫자는 0 부터 255 까지 숫자를 갖을 수 있다.

    <참고>
    1 비트 = 2 진법
    1바이트 = 8 비트 = 십진수로 0~255로 표기 됨

    각 비트는 아래와 같이 십진수로 표기 할수 있다. 


    IP의 CLASS 개념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된다. 




    개념적으로 네트워크까지 전달된 정보를 네트워크 내  호스트 까지 전달되어야 하는데 

    IP 주소할당의 방식이  네트워크 주소까지 확정해서 해당 사용 기관에 할당하고 

    할당된 주소 내에서 호스트 부분은 각 기관이 할당해서 사용한다. 


    관련 이미지



    IP주소의 첫번째 비트가 0 이면 A 클래스 네트워크 주소이다.  
    첫번째 비트 이후 나머지 7개 비트는 네트워크 주소로  만들어질수 있어  총  255 개의 A 클래스 네트워크 주소를 만들수 있다. 



    주소의 처음 2 비트가  10 이면  B클래스 네트워크 주소 이다.   
    처음 2 비트 이후 다음 14개  ( 6 + 8 )  비트는 네트워크 주소를 지정한다. 
    이후 나머지 16 개 비트는 호스트 주소로 사용되어 B 클래스 주소는 총 1만6천개의 기관이 B클래스 주소를 할당 받을수 있고 
    할당 받은 기관은 총 6만5천개의 호스트 주소를 만들어 사용할수 있다.  




    .
     



    Comments